맨위로가기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여자 배구 팀이다. 1995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4강에 진출했다. 2007년 월드 그랑프리 우승,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4위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4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했으며, 2018년과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팀의 주요 선수로는 론네케 슬뢰체스, 마레트 발케스테인-흐로투이스, 라우라 다이케마 등이 있다. 역대 감독으로는 아비탈 셀린저, 조반니 구이데티, 제이미 모리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여자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1년에 창설되어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UEFA 유럽 여자 선수권 대회 등에 출전하며, UEFA 여자 유로 2017에서 우승하고 FIFA 여자 월드컵 2019년 준우승을 기록했다.
  • 네덜란드의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네덜란드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80년 동계 올림픽에서 9위를 기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하위 디비전을 오가며 활동하며, 2023년 4월 29일 기준 710전 217승 60무 433패의 역대 전적을 가지고 있다.
  • 네덜란드의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네덜란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FIH 월드컵 3회 우승, 유로하키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챔피언스 트로피 8회 우승, 하계 올림픽 금메달 3회 등 국제대회에서 강세를 보이는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이다.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네덜란드 국기
네덜란드 국기
성별여자
연맹네덜란드 배구 연맹
웹사이트www.volleybal.nl
대륙 연맹CEV
감독펠릭스 코즐로스키
FIVB 랭킹10위 (2024년 3월 기준)
올림픽
출전 횟수4회
첫 출전1992년
최고 성적4위 (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4회
첫 출전1956년
최고 성적4위 (2018년)
월드컵
출전 횟수2회
첫 출전1995년
최고 성적8위 (1995년, 2019년)
유럽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28회
첫 출전1949년
최고 성적우승 (1995년)
메달 기록
월드 그랑프리금메달 (2007 닝보)
동메달 (2016 방콕)
유럽 선수권 대회금메달 (1995 네덜란드)
은메달 (1991 이탈리아)
은메달 (2009 폴란드)
은메달 (2015 네덜란드/벨기에)
은메달 (2017 아제르바이잔/조지아)
동메달 (1985 네덜란드)
동메달 (2023 벨기에 / 이탈리아 / 독일 / 에스토니아)
몽트뢰 발리 마스터스금메달 (1984 쿠프 데 나시옹)
동메달 (2007년)
동메달 (2015년)

2. 역사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9년 첫 국제 대회에 참가한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다.

2016년 6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을 통과하여 20년 만에 올림픽 출전을 결정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8강전에서 대한민국에 3-1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으나, 준결승에서는 중국에 1-3, 3위 결정전에서는 미국에 1-3으로 져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4강에 진출했으나, 준결승과 3위 결정전에서 패하며 리우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 1. 초기 (1949년 ~ 1990년대 초)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7위를 기록했다. 초기에는 유럽 중하위권에 머물렀으나, 1985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2. 2. 황금기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1995년 자국에서 개최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1] 대표팀 감독 경험자인 아비탈 세린저는 과거 히사미츠 스프링스의 감독을 맡았고, 그의 아버지인 알리 세린저는 파이오니아 레드윙스의 감독을 맡는 등 일본과의 관계가 깊어, 일본을 속속들이 아는 부자 관계이기도 하다.[1] 그 때문에 근년의 대표팀에는 높이에 '끈기'를 더한 배구 스타일이 되었다.[1]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차 라운드를 3승 2패의 3위로 통과했고, 2차 라운드는 3위로 마치고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했다.[2] 파이널 라운드 첫 경기는 개최국 일본과의 대결에서 1-3으로 패했고, 7위 결정전은 쿠바에 0-3으로 패하여 최종 성적 8위가 되었다.[2] 젊은 에이스인 마농 플리어의 성장도 현저하며, 국가 체제로 대표팀을 강화해 온 결과가 착실하게 결실을 맺고 있다.[2]

2007년 월드 그랑프리 예선에서 일본을 꺾는 등 5위로 결승 라운드에 진출했고, 중국, 이탈리아, 브라질, 폴란드, 러시아 등 강호들을 차례로 꺾고 첫 우승의 쾌거를 이뤘다.[3] 대회 MVP에는 에이스 마농 플리어가 선정되었다.[3] 그러나 그 후에 열린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그쳐 월드컵 2007 티켓을 놓쳤다.[3]

2008년베이징 올림픽 유럽 예선에서 5위를 하여, 세계 최종 예선에 출전하지 못해 사실상 올림픽 출전을 놓쳤다.[4] 그러나 2009년에 들어서 2009년 월드 그랑프리 첫 경기에서 일본을 스트레이트 승리하는 등, 근년 강해지고 있다.[4]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개최국 폴란드를 꺾고 결승에 진출, 이탈리아에 패했지만 준우승을 차지했다.[4]

2. 3. 올림픽 도전과 좌절 (2008년 ~ 2012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럽 예선에서 5위를 기록하여 세계 최종 예선 출전 자격을 얻지 못하면서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유럽 예선에서도 탈락하여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 4. 재도약과 새로운 전성기 (2014년 ~ 현재)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을 통과하여 20년 만에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예선 라운드 2위로 통과하여, 8강전에서 대한민국을 3-1로 꺾고 사상 처음으로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준결승에서는 중국에 1-3으로 패하고, 3위 결정전에서 미국에 1-3으로 패하며 최종 4위로 대회를 마감하며, 올림픽 역대 최고 성적을 달성하였다.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차 라운드에서 일본 등 강호를 꺾고 5승 0패, 1위로 통과했다. 2차 라운드에서는 브라질에 풀세트 접전 끝에 패배했지만, 8승 1패를 기록하며 1위로 3차 라운드에 진출했다. 3차 라운드에서는 중국에게 패했으나, 미국을 상대로 풀세트 승리를 거두며 1승 1패로 4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준결승에서는 예선에서 완승을 거두었던 세르비아를 상대로 1-3으로 패하고, 3위 결정전에서 다시 만난 중국에게 0-3으로 패하며 최종 4위로 대회를 마쳤다.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이어 다시 한번 세계 정상급 실력을 입증했지만,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23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3위를 기록하면서 꾸준한 성적을 기록 하였다.[1]

유럽 선수권 대회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 2021준결승4위9631911선수 명단
/// 2023준결승3위981254선수 명단


3. 주요 대회 성적

월드 그랑프리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1993불참
19941라운드9위927822선수 명단
1995불참
19961라운드7위12210932선수 명단
19971라운드7위615715선수 명단
1998불참
19991라운드8위615717선수 명단
2000예선 탈락
2001
2002
2003결선 라운드4위10641922선수 명단
2004예선 탈락
2005결선 라운드6위14682426선수 명단
2006예선 탈락
2007결선 라운드우승141133322선수 명단
2008예선 탈락
2009결선 라운드4위14953220선수 명단
20101라운드7위9541716선수 명단
2011예선 탈락
2012
20131라운드12위9451415선수 명단
20141라운드14위11923111선수 명단
20151라운드13위880243선수 명단
2016준결승3위13762324선수 명단
2017결선 라운드5위9652619선수 명단
합계1회 우승14/251467769274264



연도결과연도결과
1949년7위1985년3위
1951년5위1987년5위
1958년10위1991년준우승
1963년9위1993년7위
1967년7위1995년우승
1971년9위1997년9위
1975년11위1999년5위
1977년10위2001년5위
1979년6위2003년4위
1981년9위2005년5위
1983년11위2007년5위
1985년3위2009년준우승
1987년5위2011년7위
1991년준우승2013년9위
1993년7위2015년준우승
1995년우승2017년준우승
1997년9위2019년5위
1999년5위2021년4위
2001년5위2023년3위


  • '''월드 그랑프리'''
  • '''우승 (1회)''': 2007
  • 3위 (1회): 2016
  • '''유럽 선수권 대회'''
  • '''우승 (1회)''': 1995
  • 준우승 (4회): 1991, 2009, 2015, 2017
  • 3위 (2회): 1985, 2023


1995년 자국에서 개최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1] 대표팀 감독 경험자인 아비탈 세린저는 과거 히사미츠 스프링스의 감독을 맡았고, 아버지인 알리 세린저는 파이오니아 레드윙스의 감독을 맡는 등 일본과의 관계가 깊어, 일본을 속속들이 아는 부자 관계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근년의 대표팀에는 높이에 '끈기'를 더한 배구 스타일이 되었다.

2007년 월드 그랑프리 예선에서 일본을 꺾는 등 5위로 결승 라운드에 진출했고, 중국, 이탈리아, 브라질, 폴란드, 러시아 등 강호들을 차례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MVP에는 에이스 마농 플리어가 선정되었다.

3. 1. 올림픽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
1992년8강6위514614
1996년8강5위8531712
2016년준결승4위8531914



2016년 6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을 통과하여 20년 만에 올림픽 출전을 결정했다.[1]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예선 라운드 2위로 통과, 8강전에서 대한민국에 3-1로 승리하며 처음으로 4강에 진출했다.[1] 준결승에서는 중국에 1-3, 3위 결정전에서는 미국에 1-3으로 져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1]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라운드최종 순위경기 수승리패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1952불참
195610위1019627
1960불참
196212위725815
1967불참
197015위918525
197416위11471523
197817위9451517
198216위8531711
1986예선 탈락
19909위6331110선수 명단
1994플레이오프 라운드9위42277선수 명단
19982라운드7위8531213선수 명단
20022라운드9위8441514선수 명단
20068위9451719선수 명단
201011위9361519선수 명단
201413위725916선수 명단
2018준결승4위13943117선수 명단
20222라운드12위9451617선수 명단
2025진출
합계0회 우승16/201275374196250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네덜란드는 1차 라운드를 3승 2패, 3위로 통과했고, 2차 라운드도 3위로 마쳐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했다. 파이널 라운드 첫 경기에서 개최국 일본에 1-3으로 패했고, 7위 결정전에서 쿠바에 0-3으로 패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네덜란드는 1차 라운드에서 일본 등 강호들을 꺾고 5승 0패로 1위를 차지했고, 2차 라운드에서는 브라질에 풀세트 접전 끝에 패했지만 8승 1패, 1위로 3차 라운드에 진출했다. 3차 라운드에서는 중국에 패했으나, 미국을 풀세트 접전 끝에 꺾고 1승 1패로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세르비아에 1-3으로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는 중국에 0-3으로 져서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3. 3. 월드컵

연도순위경기 수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선수 명단
1973-1993불참
19958위11651919선수 명단
1999-2015불참
20198위11562119선수 명단


3. 4. 월드 그랑프리 / 네이션스 리그

월드 그랑프리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1993불참
19941라운드9위927822선수 명단
1995불참
19961라운드7위12210932선수 명단
19971라운드7위615715선수 명단
1998불참
19991라운드8위615717선수 명단
2000예선 탈락
2001
2002
2003결선 라운드4위10641922선수 명단
2004예선 탈락
2005결선 라운드6위14682426선수 명단
2006예선 탈락
2007결선 라운드우승141133322선수 명단
2008예선 탈락
2009결선 라운드4위14953220선수 명단
20101라운드7위9541716선수 명단
2011예선 탈락
2012
20131라운드12위9451415선수 명단
20141라운드14위11923111선수 명단
20151라운드13위880243선수 명단
2016준결승3위13762324선수 명단
2017결선 라운드5위9652619선수 명단
합계1회 우승14/251467769274264



2007년 월드 그랑프리 예선에서 일본을 꺾는 등 5위로 결승 라운드에 진출했고, 중국, 이탈리아, 브라질, 폴란드, 러시아 등 강호들을 차례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MVP에는 에이스 마농 플리어가 선정되었다.

2016년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준결승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8년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3. 5. 유럽 선수권 대회

연도결과연도결과
1949년7위1985년3위
1951년5위1987년5위
1958년10위1991년준우승
1963년9위1993년7위
1967년7위1995년우승
1971년9위1997년9위
1975년11위1999년5위
1977년10위2001년5위
1979년6위2003년4위
1981년9위2005년5위
1983년11위2007년5위
1985년3위2009년준우승
1987년5위2011년7위
1991년준우승2013년9위
1993년7위2015년준우승
1995년우승2017년준우승
1997년9위2019년5위
1999년5위2021년4위
2001년5위2023년3위



1995년 자국에서 개최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1]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그쳤다.[1] 200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개최국 폴란드를 꺾고 결승에 진출, 이탈리아에 패했지만 준우승을 차지했다.[1]

3. 6. 유러피언 게임

유러피언 게임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20158강5위6421210선수 명단


4. 선수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많은 선수들이 대표팀을 거쳐갔다.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2018년에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한 것이 가장 좋은 성적이다.[5][6]

네이션스 리그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2018결선 라운드5위171254024선수 명단
2019예선 라운드11위15692730선수 명단
2021예선 라운드7위15963026선수 명단
2022예선 라운드11위12482028선수 명단
2023예선 라운드12위12572322선수 명단
2024예선 라운드9위12752418선수 명단
합계0회 우승6/6834340164148



2018년 당시 대표팀 감독은 제이미 모리슨이었다.

배구 포지션은 다음과 같다.


  • S: 세터
  • OH: 아웃사이드 히터 (윙 스파이커, 에이스 공격수)
  • OP: 아포짓 스파이커 (유니버설, 슈퍼 에이스)
  • MB: 미들 블로커
  • L: 리베로
  • R: 리시버

4. 1. 주요 선수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주요 선수
선수명포지션비고
론네케 슬뢰체스아포짓 스파이커세계적인 공격수, 팀의 주 득점원
마레트 발케스테인-흐로투이스아웃사이드 히터오랜 기간 대표팀 주장, 공수 양면에서 안정적인 활약
라우라 다이케마세터주전 세터, 노련한 경기 운영 능력
안네 바이스아웃사이드 히터파워풀한 공격과 블로킹
로빈 데 크루이프미들 블로커높이와 블로킹 능력
셀레스터 플라크아웃사이드 히터/아포짓 스파이커강력한 공격력
이본 벨리엔미들 블로커빠른 발과 점프력을 활용한 공격과 블로킹
키르스텐 크니프리베로
펨케 스톨텐보르프세터
줄리엣 로후이스미들 블로커
사라 판 아알렌세터
미르테 스홋리베로
브리트 본하르토스세터
데미 코레파르미들 블로커
수잔 코스미들 블로커
니콜 아우데미들 블로커
마릿 야스퍼아웃사이드 히터
니카 달데롭아웃사이드 히터
테사 폴더르미들 블로커
니콜 콜하스미들 블로커
헤스텔 야스퍼아웃사이드 히터
에레스 레페링크
리에테 프레데르스
킴 스타엘렌스
하이네 스타엘렌스
잉그리드 피세르
프란신 푸르만
야네카 판 티에넨
엘케 바인호펜
아리스 블롬
마논 프리르
데비 스탐
카롤린 벤싱크
플로르체 메이너르스
킨타 스테인베르헨
엘리네 팀머만
조리엔 크노레마

[5][6]

4. 2. 역대 주요 선수


  • 앨리스 블롬
  • 친타 보르스마
  • 에르나 브링크만
  • 힐렌 크리엘라르트
  • 이리나 도네츠
  • 욜란다 엘쇼프
  • 리에테 플레데러스
  • 제린 플뢰르케
  • 마농 플리에르
  • 수잔 프레릭스
  • 페트라 흐로엔란트
  • 키르스텐 글레이스
  • 아프케 하멘트
  • 루트 헤르샤프
  • 사스키아 판 힌툼
  • 프란시엔 휘르만
  • 카를린 얀스
  • 마르홀레인 더 용
  • 베라 쿠넨
  • 마릿 렌스트라
  • 엘레스 레페링크
  • 한네케 판 뢰스덴
  • 이레나 마초브착
  • 플로르테 메이네르스
  • 린다 문스
  • 미르얌 오르셀
  • 키티 산더스
  • 티티아 서스트링
  • 모린 스탈
  • 샤인 스탈렌스
  • 킴 스탈렌스
  • 데비 스탐
  • 클라우디아 판 틸
  • 얀네케 판 티에넨
  • 리제트 판 데르 벤
  • 잉리드 비서
  • 산나 비서
  • 헨리에테 베르싱
  • 루트 판 데르 웰
  • 캐롤라인 웬싱크
  • 산드라 비거스
  • 엘케 와인호벤
  • 퀸타 스테인베르겐
  • 실비아 라아마커스
  • 에레스 레페링크
  • 킴 스타엘렌스
  • 하이네 스타엘렌스
  • 프란신 푸르만
  • 엘케 바인호펜
  • 마논 프리르
  • 카롤린 벤싱크
  • 플로르체 메이너르스
  • 미르테 스호트
  • 마레트 흐로트휘스
  • 킨타 스테인베르헨
  • 라우라 다이크마
  • 론네케 슬로티에스
  • 로빈 데 크라위프
  • 안네 바이스
  • 펨케 스톨텐보르프
  • 이폰 베리엔
  • 셀레스테 프락
  • 니카 다르데롭
  • 엘리네 팀머만
  • 조리엔 크노레마

5. 감독

현재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펠릭스 코슬로프스키이다. 아비탈 셀린저는 과거 네덜란드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으며, 일본 히사미츠 스프링스 감독을 맡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 알리 세린저는 파이오니아 레드윙스 감독을 역임하는 등, 부자가 모두 일본 배구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역대 감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역대 감독 =="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역대 감독

네덜란드 팀 감독시작종료
베르트 호트코프19931998
피에르 마티외19982000
안젤로 프리고니20012004
아비탈 셀린저20042012
기두 페르뮬렌20122014
조반니 구이데티20152016
제이미 모리슨20172019
아비탈 셀린저20202022
펠릭스 코슬로프스키2023


참조

[1] 웹사이트 FIVB http://fivb.com/EN/v[...] 2018-10-02
[2] 웹사이트 U.S. Women's volleyball fends off inspired Dutch team http://www.nbcolympi[...] 2016-08-22
[3] 웹사이트 FIVB Women’s Volleyball World Ranking https://en.volleybal[...] 2024-03-03
[4]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0-08-04
[5] 웹사이트 TEAM ROSTER http://www.volleybal[...]
[6] 간행물 FIVBバレーボールネーションズリーグ2018 女子豊田大会 オフィシャルプログラム 22-23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